이달의 헬스플러스부산성모병원 호흡기내과 신경화 과장

이달의 헬스플러스

1. 결핵은 무슨 병인가요? 결핵은 어떻게 감염되나요?

결핵은 결핵균이라는 세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염병입니다. 결핵균은 다른 세균들과는 달리 사람의 몸 속에서만 살 수 있기 때문에 결핵 환자만 결핵균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결핵 환자가 기침할 때 공기 중으로 배출된 결핵균은 일시적으로 공기 중에 떠 있는데 주위 사람들이 그 공기로 숨을 쉴 때 폐로 들어가서 감염이 발생하고, 폐로 들어온 결핵균이 증식하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결핵이라고 합니다.

결핵은 우리 몸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약 85%가 폐에서 생기고, 15%가 림프절, 척추 등 폐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하여 이를 폐외결핵이라고 부릅니다. 결핵의 감염성은 폐결핵에서만 있습니다.

2. 결핵환자의 가족인데 결핵균에 감염되지 않을 수도 있나요?

결핵균이 폐로 들어오더라도 1차 방어기전인 선천면역에 의해서 결핵균이 제거되어 감염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선천면역으로 제거되지 않고 증식하게 되면 강력한 2차 방어기전인 후천면역이 결핵균을 억제하게 됩니다.

결핵균에 대한 후천면역에서 형성된 면역세포는 평생 혈액 속에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함으로써 결핵균에 감염되었는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결핵환자의 가족 중 약 절반 정도에서만 잠복결핵감염검사에서 양성을 보입니다.

3. 결핵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있나요?

결핵의 증상은 아주 다양합니다. 기침, 객담, 발열(특히 야간 발열), 객혈, 식은땀, 체중감소, 피로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초기 결핵의 경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어 건강검진으로 시행한 흉부방사선 사진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결핵환자와 가까이 지냈던 사람들의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어도 결핵에 걸렸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접촉자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결핵의 가장 흔한 증상인 기침은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에서도 관찰되지만 증상만으로는 구분이 어렵습니다. 감기로 인한 기침의 경우는 1주 정도 지나면 대부분 호전되므로 뚜렷한 원인 없이 기침이 2-3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의사의 진료 및 흉부방사선 촬영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4. 결핵의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병력청취 및 진찰 후 결핵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가 흉부 방사선 촬영 및 객담검사입니다. 흉부 방사선사진은 결핵 진단 및 다른 폐질환과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지만 확진방법은 아닙니다. 결핵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객담 결핵균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객담검사는 최소한 2회, 가능한 3회 시행할 때 균이 검출될 확률이 90% 이상으로 높아집니다. 객담은 병원 방문시 즉석에서, 다음날 그리고 다다음날 아침 식사 전 객담을 받아 제출하면 결핵균이 검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래가 잘 나오지 않더라도 최대한 기침을 해서 객담을 뱉어 제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도저히 안되면 기관지내시경을 통해 객담 검체를 채취할 수도 있습니다.

5. 객담 결핵균 도말 및 배양검사란 무엇인가요? 객담 검사 결과는 왜 오래 걸리나요?

결핵균 도말검사는 객담을 유리 슬라이드에 펴 바르고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직접 결핵균을 관찰하므로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민감도가 낮은 단점이 있습니다. 결핵균 배양검사는 결핵균이 잘 자라는 배지에 객담을 넣고 결핵균이 증식하여 균 덩어리를 만들면 이를 관찰하여 객담에 결핵균이 있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결핵균은 아주 서서히 증식하므로 배양검사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2주~2개월의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만 소수의 결핵균만 있어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민감도가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객담 결핵균 검사는 도말검사와 배양검사를 동시에 시행하므로 도말 검사에서 결핵균이 검출되지 않더라도 배양검사에서 결핵균이 검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말검사 음성일 경우 배양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 보아야 합니다.

6. 비활동성 결핵이란 무엇인가요? 결핵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데 흉부 사진에서 과거에 결핵 앓은 흉터가 있을 수 있나요?

비활동성 결핵이란 이전에 결핵균이 증식하면서 폐에 흔적을 남겼지만 현재는 결핵균의 증식은 없는 상태, 흉터를 말합니다. 치료병력에 따라 과거에 활동성 결핵으로 결핵약을 복용하여 치료가 된 상태가 비활동성 결핵으로 보일 수 있으며, 치료한 병력이 없었던 경우 과거에 결핵이 발생하였지만 결핵인 줄 모르고 지내다가 면역기전에 의해 결핵균 증식이 억제되어 있으면 비활동성 결핵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과거 결핵 치료력이 없이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이 있는 경우, 결핵발병의 위험은 높아지게 됩니다. 이런 경우 추적 흉부사진촬영 및 객담검사 등을 통해 활동성 결핵으로 전환되는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예방치료법에 대해서는 담당의사와 상담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COPYRIGHT(c) 2015 BUSAN ST. MARY'S HOSPITAL ALL RIGHT RESERVED.
(우) 48575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 232번길 25-14 | 대표전화 051.933.7114 | 팩스 051.932.8600